교수진 Faculty


2019년도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가 지원하는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육성사업 수행대학으로 선정됨에 따라 (2019년~2023년),
스마트시티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한 특성화 교육으로 산업 활성화 및 해외 진출에 필요한 핵심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핵심 전문 인력양성을 위해 건설환경공학부 스마트도시공학 전공을 신설하였으며 7개 학부(과)(건설환경공학부, 컴퓨터공학부, 건축학과 등)
참여교수 소속의 다양성을 활용하여학부과정의 연계를 강화하였다. * 참여교수 추후확대 예정

Lee, Jae seung 이제승 부교수

도시설계연구실 Urban Studies and Design Lab

02-880-5660 82동 415호

본 연구실은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조성한다는 비전을 가진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실은 도시계획 및 설계를 연구한다. 연구 분야는 도시의 다양한 이슈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도시축소 및 쇠퇴, 도시재생, 스마트 축소, 도시형태와 열쾌적성, 보행환경과 건강, 교통행태, 스마트시티

공동주택단지의 물리적 배치변경이 도시 열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본 연구는 시민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고온과 열 쾌적성에 대한 아파트의 물리적 배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압구정 현대 아파트를 연구 대상지로 설정하고 ENVI-met 모델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세 가지 다른 건물 유형과 배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아파트 단지의 레이아웃 변화가 바람과 열 환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하였다. 사회주의 집단 주택 지역 (KTT)의 지속성: 베트남 하노이의 대규모 주택의 진화와 현대적 변화 연구: 본 연구는 베트남 하노이를 연구 대상지로 설정하고 사회주의 집단 주택지역(KTTs)의 공간적 패턴과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KTT 주변 지역의 물리적 변화, 공간 활용, 주택 가격 및 여건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로서 KTT의 생활 여건은 입지, 과도기적 생활 문화, 주민 소득 증가 등 사회적 경제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축소도시 과제에 대응하기위한 디자인 전략 연구: 본 연구는 축소도시의 도시 설계 전략에 대한 특성과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의 축소 커뮤니티 사례를 통해 축소도시의 취약 인구를 위한 안전망 구축, 장소 기반 소셜 네트워크 구축, 쇠퇴지역으로 낙인 찍힌 이미지의 재구성과 같은 도시 설계 전략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설계 실무자와 정책 입안자가 계획 수립 과정에서 선택할 수 있는 네가지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1) Urban connector strategy, 2) Place patchwork strategy, 3) Social incubator strategy, 4) Process-based strategy. 신도시 중심지에서의 도시설계 지향점과 설계원칙 연구: 본 연구는 신도시 중심지 도시설계에 요구되는 지향점과 원칙을 고찰함으로써 현 신도시 개발의 틀 안에서 실행력 있는 설계방안 모색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동탄2 신도시의 문화디자인밸리 도시설계 사례를 고찰하여 도시설계의 세가지 지향점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1) 민간-공공부문의 상호작용 활성화, 2) 개발-운영주체의 다양성 증대, 3) 도시성숙에 따른 중심지 변화에 대응.


Gwanak-ro1 · Gwanak-gu · Seoul · 08826 · Korea | tel. 82-2-880-9082 | fax. 82-2-873-2684
Copyright © 2019 서울대학교 스마트도시공학전공, 서울대학교. All right reserved. designed by dsso.kr